본문 바로가기

일상(日常)...

남해 보물섬(금왕사,금산, 망운산) 가을 소풍

728x90
반응형

남해 보물섬(금왕사,금산, 망운산) 가을 소풍

전날 일기예보엔 구름이 많고 비가 온다고 했는데

창밖을 보니 햇빛만 쨍쨍하다.

좀 늦은 시간이라 산행하기는 그렇고

이 때쯤 단풍이 한창일 남해 금산이 생각나

오늘(2015.11.12)은 옆지기와 함께 남해 보물섬으로 가을 소풍을 떠난다.

 

무릎이 시원챦은 옆지기와 산행을 못하니

차로 이동 드라이브겸 늦가을 풍광속에 빠지기 위함이었다.

 

금산 북곡주차장쪽에 도착하자,

짐작대로 단풍이 절정이다.

하지만 애견 출입금지....

우짜노!

나 혼자라도 금산의 가을 풍광을 얼른 담아오기로 하고

풍광이 좋은 몇몇 포인트만 담고,

늘 지나 다니면서 맘에만 두었던 금왕사로 향한다.

 

금왕사로 이어지는 도로는

마치 차가 뒤로 넘어질 듯한 착각을 불러 일어킬 정도로

좁은 급경사이었다.

 

거대함 기암틈 사이의 금왕사...

어떻게 이곳에 절을 세웠을까 하고 감탄한다.

 기암과 어우러진 툭터진 조망, 아늑하고 풍광이 빼어난 절이었다.

 

금뢍사 탐방을 마치고 상주쪽의 아름다운 해안을 둘러보고

마지막으로 남해에서 가장 높은산이며 정상조망이 탁월한

망운산으로 향한다.

봄이면 철쭉꽃으로 유명하지만 보리암이 있는 금산에 가려

널리 알려지지 않은 산이기도 하다.

 

또한 차로 망운산 철쭉군락지 주차장까지 갈 수 있어

옆지기와 함께 쉽게 망운산 산행을 할 수 있었다.

망운산 산정에서의 사방팔방 시원하게 터지는 조망

능선으로 흘러내리는 단풍

이 보다 더 멋진 가을 소풍이 있을까...

 

암턴 우리는 남해 보물섬의 늦가을 풍광에 힐링한

멋진 소풍이 되었다!

 

오늘의 이모저모


남해 금산 금왕사(錦王寺)

(경남 남해군 이동면 보리암로 65-23. 055-862-3794 )

 

금왕사는 보리암 가는 길에 있지만 이 작은 사찰을 찾는 사람은 드물다. 

보리암쪽을 가면서 금왕사 입구 도로를 보면

기가 죽을 정도의 급경사의 좁은 도로이다.

하지만 금왕사에 들어서면,  

기암 절벽 가까이 이런 사찰을 지었다는 게

놀라울 정도이며 빼어난 풍경이 펼쳐진다.

 

운전에 자신있다면 금왕사도 한번 둘러 봄직하다.

 

금왕사 주차장에서 대웅전과 기암을 올려다봄

 

금왕사로 들어서면서

 

금왕사 대웅전 전경과 기암풍광

이곳엔 석불이 많기도 하다

 

금왕사 뒷편 기암봉을 당겨봄

 

금왕사 대웅전

 

대웅전 옆 기암을 당겨봄

 

대웅전 뒷편의 풍광

앵강만과 설흘산,응봉산 능선이 보인다

 

앞에 안 비키면 맞는다이!..하고 석불이 마치 주먹을 휘두를 것 만 같네.ㅋ

 

금왕사 용왕각쪽에서 내려다본 풍광

 

기암봉쪽을 올려다봄

 

상부를 더 당겨봄

 

용왕각 위에서 올려다본 풍광

정상부에 기도처인 요사채가 보인다.

 

거대한 암봉 옆으로 요사채가 드러난다.

 

암봉을 크게 바라봄

요사채로 이어 지는 길이 있으나 수행처로 출입금지라

정상부에서 바라보는 풍광이 넘 아쉬웠다

 

용왕각 위의 풍광

석불과 기암이 절묘하게 어우러져 있었다

 

조금 당겨봄

 

수행하는 모습의 석조물과 뒷편 기암풍광

 

해학적으로 보이는 석조물도 담아보고...

이젠 금산쪽으로 이동한다

 

남해 금산

보리암으로 유명한 금산....

오늘은 수능일이라 기도하려는 학부모와 탐방객이 엄청 붐볐고

남해금산의 단풍은 절정이었다.

기암과 어우러진 금산의 가을풍광은 과히 환상적이었다.

애견 출입금지로 옆지기만 함께 못한 것만 빼고...

그러나 나 홀로 황급히 금산의 단풍 절경을 몇장 담아 보았다.

 

복곡저수지에서 바라본 풍광

단풍이 절정이다

 

저수지 둑에서...

 

금산의 정상부와 금평마을로 이어지는 능선의 풍광

복곡매표소로 이동 보리암으로 갈 예정이었으나

애견 출입금지로 할 수 없이 나홀로 금산의 풍광을 담아 오기로 한다.

 

보리암 직전에서 바라본 기암풍광

 

보리암 뒷편의 대장봉

좌측 졸병 바위가 대장에게 절을 하고 있다 ㅋ

 

보리암에 들어서면서

 

보리암 좌측의 풍광

 

동쪽 사면의 풍광, 단풍이 흘러내린다

보리암에서 바라본 미조쪽 바다풍광

 

화엄봉

 

멀리 상사바위쪽을 당겨봄

 

보리암 해수관음보살상 앞에서 올려다 본 풍광

많은 어머님들이 수능시험을 잘 보게 해 달라며 간절히 기도하고 있었다 

 

여기서 상사바위의 멋진 풍광을 담아본다

 

더 당겨봄

 

얼른 자리를 이동 대장봉을 당겨보고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장소에서 보리암쪽 풍광을 담아봄

 

상주해수욕장쪽을 내려다 보고는 부리나케 금산을 내려와

옆지기와 합류 다음 장소로 이동한다

 

상주쪽으로 이동중 금평마을 어귀에서

조금 전에 다녀온 마치 요새같은 금왕사 풍광을 당겨봄

 정말 경이롭다!

 

매년봄이면 유채밭으로 유명한 두모마을 입구에서

금산 부소암쪽을 배경으로

 

2014.4.7. 촬영한 두모마을 유채밭 풍광을 올려본다

 

부소암쪽을 당겨봄

 

대량마을 해안의 풍광

중앙의 섬이 노도, 그 뒷편은 호구산

 

대량마을 해안을 배경으로

 

선창에서 바라본 대량마을

바닷물이 수정처럼 맑다

여기가 종점 되돌아 이동한다

 

상주쪽으로 이동중 금산을 바라봄

 

정상부를 당겨봄

정상부의 기암과 단풍이 어우러져 환상적이다

 

상주해수욕장의 아름다운 풍광

 

요기서 한컷!

 

쉼터에서 민생고를 해결하고...

 

다시 금산쪽을 바라보고 또 이동...

 

상주면 소재지를 지나 금산 입구쪽으로 이동중

도로에서 금산쪽을 올려다봄

 

단풍에 휘감긴 상사바위를 당겨봄

 

보리암쪽을 당겨봄

 

금산 들머리 주차장에서 금산을 배경으로...

 

강풍에 모자가 벗겨질려는 찰나 한 컷...ㅋ

 

다시 원천동으로 이동 선착장의 풍광을 담아봄

앵강만과 가천 설흘산, 응봉산 능선이 펼쳐지고...

 

호구산쪽을 배경으로 담아본다

 

해안을 따라 남해읍을 경유 서면의

망운산 철쭉군락지 주차장 앞까지 애마로 이동한다

서면 중리마을쪽으로 진행하다 보면 도로 우측에 이정표가 있다

좁은 경사로에 마을에서 이곳까지는 5.5Km이다

교행 운전에 능숙하지 않은 운전자는 자제하는 것이 좋을성 싶다 

 

이젠 망운산으로 향한다

봄이면 철쭉으로 많은 탐방객이 찾는 곳이다.

화방사쪽 산행코스와 합류되는 지점이다

백패킹에 적합한 장소라고 생각해 된다

 

망운산으로 이동하면서 주차장쪽을 내려다봄

 

멀리 여수, 광양쪽을 바라보지만 연무로 희미하다

중간에 우리가 차로 이동한 임도가 보인다

 

철쭉 전망대에서

 

설천쪽 해안을 배경으로...

육안으로는 삼천포항과 사천만이 보이지만 사진상으론 희미하다

 

설천쪽 해안을 당겨봄

 

갈화리 해안쪽의 멋진 풍광을 당겨봄

우측 하동 대도리와 좌측 광양쪽이 보이지만 연무로 희미하다

 

산행로에서 바라본 정상쪽 풍광

 

무릎만 괜챦으면 예전처럼 온 산을 누빌텐데...

 

정상풍광

 

정상쪽 너른바위

 

정상에서

일출,일몰 촬영 장소로도 매우 훌륭한 장소인 것 같다

 

쀼쀼와....

 

창선도와 남해읍쪽을 배경으로

 

중계소로 이어지는 능선을 배경으로

 

중계소로 이어지는 능선을 내려다봄

 

중계소를 당겨봄

 

정상 바위전망대에서 내려다본 풍광

바로 밑에 망운암이보이고 남해읍과 창선쪽이 조망된다

이곳도 단풍이 절정이다

 

같은 장소에서 설천쪽과 창선도를 바라봄

 

우측 정상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당겨봄

 

또 다른 전망대에서 남해읍을 배경으로

 

남해읍을 당겨봄

 

멀리 하동 금오산쪽을 당겨봄

새로 건설중인 남해대교가 희미하게 보인다

 

이젠 하산...

 

평지에선 끄떡 없는데.....

 

망운암 일주문

 

망운암 전경

뒷편에 망운산 정상

 

기념 샷

 

망운암쪽에서 남해읍쪽을 내려다봄

멀리 창선대교가 보인다

 

하산중 도로에서 중계소쪽 능선을 올려다봄

 

남해대교를 담아보고...

 

남해대교 배경을 끝으로

오늘 보물섬 가을 소풍을 즐겁게 마무리 하고

무탈하게 진주로 귀가하였다!


흐르는 곡

Speak softly love 


728x90
반응형